김일륜 가야금 이건용 작품집 | 달·빛 그리고 저녁노래
01 25현가야금을 위한 차음악 ‘잎·물·빛’
- 25현가야금: 김일륜
02 25현가야금을 위한 차음악 ‘별과 詩’
- 25현가야금: 김일륜
03 사계를 위한 ‘저녁노래Ⅳ’
- 25현가야금 I: 김일륜 / 25현가야금Ⅱ :박경선 / 25현가야금Ⅲ :이유림 / 25현가야금Ⅳ :이승아
04 비올라와 25현가야금을 위한 ‘저녁노래Ⅴ’ - 실황
- 25현가야금: 김일륜 / 비올라: 오순화
05 그렇지요
- 詩: 하종오/ 병창: 김일륜 / 산조가야금: 이승아 / 25현가야금 I: 박경선 / 25현가야금 II: 이유림
06 사랑
- 詩: 문익환 / 병창: 김일륜 / 산조가야금: 이승아 / 25현가야금 I: 박경선 / 25현가야금 II: 이유림
07 상한 영혼을 위하여 詩 고정희
- 詩: 고정희 / 병창: 김일륜 / 산조가야금: 이승아 / 25현가야금 I: 박경선 / 25현가야금 II: 이유림
01. 25현 가야금을 위한 차음악 ‘잎·물·빛’
차음악은 감상음악이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즉 음악과 감수성 간의 도전과 응전이 이루어지는 청취의 음악이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아마 그러한 음악은 차를 통한 명상, 시심, 교감을 어렵게 할 것이다. 감상음악보다는 묽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많은 정보를 작은 공간에 압축해서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적은 정보를 여유있게 풀어나가는 것이 현명하리라 생각하였다. 차마음(茶心)이라는 말이 가능한지 모르겠으나 음악이 그러한 마음을 열어주는 것이어야겠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작업이 처음이기는 하지만 어떤 음악이 차마음을 잘 열어줄 수 있다고 한다면 그 음악은 좋은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였다.
02. 25현 가야금을 위한 차음악 ‘별과 詩’
12현의 가야금이 25현이 되면서 표현력이 커졌으나 선율적인 악기에서 다성부적(혹은 화성적)인 악기로 바뀐 감이 있다. 다성부(화성)적인 표현은 자연히 농현이라든가 미분음, 장식적 시김새들을 피하고 싶어 한다. 다성부(화성)적인 표현을 얻은 반면에 이러한 본래적인 가야금의 표현력을 잃으면 안된다고 생각하였다. ‘별과 詩’는 다성부(화성)적인 표현과 본래 가야금이 가진 선율악기적 가능성을 교차시키면서 엮은 곡이다. 이 곡은 별과 詩人의 대화를 암시하고 있는데 별을 위해서는 다성부적인 표현을, 詩人을 위해서는 선율적인 표현을 사용하였다.
03. 사계를 위한 ‘저녁노래 Ⅳ’
‘저녁노래 IV’는 본래 해금과 아쟁을 포함한 현악 합주와 두 대의 25현 가야금을 위하여 작곡되었다. 이후 가야금 4중주곡으로 편곡되면서 25현 가야금 네 대가 음악적으로 동등한 비중을 가지며 서로 대화와 리드를 주고받는 실내악적인 음악이 되었다. ‘저녁노래 IV’의 정신은 자기완결적인 음악, 우리에게 대립하는 소우주로서의 음악을 지양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능한 한 클라이맥스를 약화시켰고 감정의 기복을 완만하게 하였고 전개의 속도를 늦추었다. 시작과 결말을 예상케 하는 장치도 최소화하였다. 대결이 아니라 스밈의 방식으로 이 곡이 우리와 만나기를 바란다.
04. 비올라와 25현 가야금을 위한 ‘저녁노래 Ⅴ
어떻게 하면 음악이 ‘작아질 수’ 있는가 하는 생각을 많이 한다. 위대한 음악보다 작은 음악, 도전적인 음악보다 스며드는 음악을 생각한다. ‘저녁노래 V’는 그러한 생각의 흔적으로 이루어진 곡이다. 원래 국악앙상블을 위하여 썼는데 후에 다시 비올라와 25현 가야금으로 고쳤다.
05. 그렇지요
1988년에 쓴 ‘하종오의 시에 붙인 네 개의 노래’ 중에 서 ‘그렇지요’를 가야금병창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그렇지요’는 원래 기타의 반주로 부르도록 되어있는데 후에 소규모 국악관현악으로 반주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렇지요’의 가락 안에 다소 남도 가락이 들어있기 때문이었다. 기타의 반주는 쉽게 가야금으로 바꿀 수 있어서 이것을 가야금병창으로 바꾸어 보았다. 이렇게 하는 데에는 가야금병창을 오늘에 되살리려고 하는 김일륜 선생의 권고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06. 사랑
‘사랑’은 문익환 목사의 시에 붙여 피아노 반주가 붙은 가곡으로 1983년에 작곡되었다. 시는 사랑의 달콤함이나 황홀함만이 아니라 사람과 삶을 사랑하므로 생기는 아픔과 분노까지도 담고 있는 것이었다. 이 시의 폭과 깊이를 담기 위해서 다소 진한 남도 가락을 선율에 사용하였고 그 결과 서양 음악 훈련을 받은 성악가들이 부르는 노래가 아니라 우리 소리를 하는 성악가들에게 더 적합한 노래가 되었다. 김일륜 선생의 권고에 의하여 가야금병창으로 편곡되었는데 이 곡의 어법과 성격을 볼 때 자연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07. 상한 영혼을 위하여
‘상한 영혼을 위하여’는 원래 고정희 시인의 동명시에 붙인 노래였다. 기타로 반주할 수 있도록 화음의 코드를 붙여 놓았었다. 이 노래의 후반에 마치 시나위 구음처럼 가사 없이 부르는 부분이 있는데 구음 같은 느낌을 내기 위해서 기타 코드 진행에서는 잘 볼 수 없는 화음을 쓰기도 했었다. 이 부분이 이 노래를 병창으로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그렇지요’와 ‘사랑’에서처럼 병창은 12현 가야금을 사용하고 두 사람의 다른 주자는 25현 가야금을 사용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