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륜·임재원 가야금·대금 중주 | 사랑이어라
01 25현 가야금과 대금을 위한 ‘메나리’
- 작곡: 박범훈 / 25현 가야금: 김일륜 / 대금: 임재원 / 장구: 성지은
02 대금·가야금 이중주 ‘南侶사랑’-실황
- 작곡: 김용만 / 25현 가야금: 김일륜 / 대금: 임재원
03 대금과 가야금을 위한 ‘시곡(詩曲)’-실황
- 작곡: 서경선 / 18현 가야금: 김일륜 / 대금: 임재원
04 대금과 가야금을 위한 ‘사랑이어라’
- 작곡: 이상규 / 산조 가야금: 김일륜 / 대금: 임재원
05 대금과 가야금을 위한 ‘대바람소리’
- 작곡: 이상규 / 25현 가야금: 김일륜 / 대금: 임재원 / 장구: 김선옥
06 평조회상 중 ‘상령산’-실황
- 정악 가야금: 김일륜 / 대금: 임재원
01. 25현 가야금과 대금을 위한 ‘메나리’
25현 가야금과 대금 이중주인 ‘메나리’는 본래 일본 전통 악기인 샤꾸하찌(尺八)와 고또(箏)를 위해 작곡된 박범훈의 1993년 작품이다. 메나리란 강원도와 경상도 지방에 전승되어 온 토속 민요조를 가리키는 고 유어인데, 작곡자는 이 작품에서 한오백년과 강원도 아리랑 등 메나리조로 된 민요를 곡의 주선율로 활용하면서 곡명을 그대로 ‘메나리’라고 하였다. 미·라·도 세 음이 주로 쓰이고, 솔과 레가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메나리조는 때 묻지 않은 한국인들의 토박이 정서와 푸근한 향수를 느끼게 하는데, 작곡자는 이러한 느낌 들을 25현 가야금과 대금 이중주에 담아냈다. 뿐만 아 니라 작곡자는 다양한 변형 박자(7/♪, 9/♪, 11/♪)를 활용하여 민요에 내재된 생활의 흥취를 표현하는 것도 잊지 않고 있다. 일본인 음악가 부부(요네자와 히로시, 米澤浩)에 의해 초연된 이후, 임재원·김일륜 부부가 1997년 미국 동부 지역 순회공연에서 이를 대금과 가야금 이중주곡으로 재연하였고, 1999년 12월 24일 KBS-FM 초청 연주회에서 다시 대금과 25현 가야금 이중주로 연주하였다.
02. 대금·가야금 이중주 ‘南侶사랑’
1999년 5월 마지막 주일에 교회에서 만난 김용만 선 생은 불쑥 악보 하나를 건넸다. 집에 와서 보니 아무 런 작곡 노트도 없이 ‘南侶사랑. 1999. 5. 22. 又軒 - 임재원 선생에게-’라고만 쓰여 있었다. 평소 우리 부 부를 아껴주시던 선생은 볼 때마다 ‘대금·가야금 이중주곡’을 써주겠노라고 하시더니 우릴 생각하며 ‘南侶 사랑’을 작곡하신 것이다. 우리는 2003년 가을, 김용 만 선생과 영영 이별을 한 후 遺作으로 이 곡을 갖고 있게 되었다.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故 又軒 김용만 선 생은 우리 음악계의 태두이신 竹軒 김기수 선생님의 아들이기도 하다. 선생은 국립국악원, 서울시립국악 관현악단,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경북도립국악단의 음악감독 겸 지휘자를 역임하면서 창작음악계의 선 두주자로 활동하였다. 대학시절부터 선생과 음악 활동을 했던 우리는 고인을 생각하며 우리 부부에게 평소 아낌없는 애정을 표해 주셨던 故 김용만 선생의 遺作 ‘南侶사랑’을 2007년 3월 23일 임재원 독주회를 통해 삼가 선생께 올렸다.
*남려(南侶)는 국악의 12율명 중 10번째 음에 해당 하는 ‘C음’이다. 'C'음은 산조의 기본(本)청이기도 하고 남려와 음이 비슷한 남녀(男女)의 중의적 표현으로도 해석된다. 선생께서 우리 부부에게 세상의 '본(本)'이 되는 사람으로 살라는 뜻으로 새겼다.
03. 대금과 가야금을 위한 ‘시곡(詩曲)’
‘시곡’은 서양 음악에서 사용되는 5선 악보로는 도저히 정확하게 적을 수 없는 음고의 흔들림, 오묘하게 변화되는 다이나믹스, 시간적 공간의 여백과 미미한 움직임 등의 전통 아악의 특징들을 바탕으로 하여, 두 악기를 헤테로포니에 근거한 짜임 속에서 각각 독자적인 장식을 사용하여 대립시켰다. 그리고 오선보에 여러 가지 아티큘레이션을 동원하여 보다 가깝게 기보하고자 노력하였다.
04. 대금과 가야금을 위한 ‘사랑이어라’
‘사랑이어라’는 임재원 대금 독주회를 위해서 작곡되었다. 이 곡에서의 사랑은 부부의 사랑을 뜻하며 작곡 자가 두 사람에게 주는 사랑이기도 하다. 부부사랑을 한마디로 표현하기는 어려우나, 그것이 한없는 사랑이라면, 작곡자는 믿음직하고 따뜻한 정을 표현한 것이다. 때문에 대금과 가야금은 다양한 구조의 음악적 구성에 의해 쉬임없이 대화하고 화합하면서 한 쌍의 원앙으로 포근하고 정감있게 춤추며, 활력있게 내일을 향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05. 대금과 가야금을 위한 ‘대바람소리’
신석정의 시 ‘대바람소리’의 詩情을 대금 협주곡화하여 1978년 대한민국 작곡상 대통령상을 수상하였고 1994년 ‘임재원 대금독주회’에서 가야금이 관현악의 선율을 연주하여 대금과 가야금이 함께하는 이중주곡으로 재편해 연주되었다. 현재 대금 연주자들이 창작곡 중 가장 선호하는 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06. 평조회상 중 ‘상령산’
평조회상(平調會相)은 현악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이조해서 연주하는 소규모의 기악합주 음악이다. 가장 느리게 연주되는 ‘상령산(上靈山)’을 시작으로 점차 빨라진 타령, 군악까지 모두 여덟 개의 작은 악곡이다. 영산회상이 조선조 선비계층에서 심신의 수련을 위해 즐겨졌던 음악인만큼 서서히 완만하게 진행되는 ‘상령산’은 곧고 단아한 선비 기상이 깃들어 있으며, 곡의 끝까지 절제를 잃지 않는다. 전 4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마다 종지악절이 분명하여 기승전결의 형식미를 갖추고 있다. 이 음원의 대금가락은 원래의 선율을 한 옥타브 내려, 풀어서 연주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