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훈의 휘모리잡가]
시대의 민요를 부르는 젊은 소리꾼이다. 국립국악중, 고등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으로 18년 동안 전통음악의 길을 걷고 있다. 2002년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국내 최연소(7살)로 중요무형문화재 57호 경기12잡가를 완창 발표하였으며 이어 2004년엔 최연소 시조완창, 2014년엔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최연소로 창부타령 개인 완창 콘서트를 가졌다. 2016년 1월 - 8월까지 BBS불교방송 국악이좋아요 고정진행패널로 활동했으며 각종 방송, 라디오, 공연 등 활발한 활동을 통해 옛 민요를 그대로 보존하며 시대의 새로운 노래로 불러내는데 힘쓰고 있다. 2002년 11월1일 '전병훈'이 7세의 나이로 중요무형문화재 제 57호 경기12좌창(잡가)를 최연소 완창했다. 당시 kbs, ytn, 동아, 조선일보 등 언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2시간 가량 동안 12곡을 완창했는데 2016년 현재까지 그 기록은 깨지지 않았다. 2016년 비취전국민요경창대회에서 명창부 대상을 수상해 국회의장상을 수여했다. 이번에 새로 내는 음반은 휘모리 잡가 전집 완창 음반으로, 총 11곡의 [휘모리잡가]가 수록되었다.
-Track Review-
1.만학천봉
"만학천봉"은 세상 영욕(榮辱)을 다 버리고 강태공(姜太公)의 본을 받아 낚시질을 한다는 내용의 노래이다. 천상 선경(仙境)에서 선동(仙童)이 선약(仙藥)을 구하는 모양을 서술한 긴 사설로 됐다. 모두 3단으로 나뉜다. 볶는타령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이 곡의 가사는 천상의 선동(仙童)이 태공자(太公子)와 주고받는 이야기를 유식한 문자로 잘 다듬어 놓은 것이기 때문에, 다음의 이 노래 가사는 육두문자(肉頭文字)의 조잡한 보통 휘모리잡가의 가사와는 서로 다르다. 5선악보는 이창배(李昌培)의 [한국가창대계](韓國歌唱大系)에 전한다. 이 "만학천봉"의 시작은 이렇다.
"만학천봉 운심처(雲深處)에/석벽(石壁) 굽은 길로/미록 타고 호로병(葫蘆甁 ) 차고/저(笛) 불고 불로초(不老草) 메고/쌍(雙)상투 짷고 색(色)동거리/입고 가는 저 아희(兒)야/ ... 운운."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2.병정타령
서울 · 경기지방에서 불리던 [휘모리잡가] 가운데 한 곡이다. 빠른 속도로 몰아간다는 뜻을 지닌 [휘모리잡가]가 언제부터 불렸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지금과 같은 틀을 갖춘 시기는 "긴잡가"나 "산타령"보다 후대인 1900년대 초반일 것으로 추측된다. 대체적으로 우스꽝스러운 내용의 사설을 지니고 있고, 빠르고 촘촘히 엮어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병정타령"은 구한말 신식 훈련을 받는 병정의 생활을 익살맞게 그려 낸 노래로, 같은 [휘모리잡가]인 "곰보타령"이나 "생매잡아"보다 훨씬 후에 만들어진 노래이다. 한말 서울 풀무골의 소리꾼인 '이현익'이 "병정타령" 외에 6~7종의 [휘모리잡가]를 더 지었다고 전한다. 장단은 글자 수와 구절의 길고 짧음에 따라 바뀐다. [네이버 지식백과] 병정타령 [兵丁打令] (국악정보, 2010. 7., 국립국악원)
3.육칠월
이 노래는 '최남선(崔南善)'이 편찬한 [시조유취(時調類聚)]의 '어듸야 낄낄'이라는 옛 장형시조(長型時調)에 결말을 넣어 부른 것으로 '어듸야 낄낄'로 칭하기도 한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어듸야 셀셀/소 모라 가는 노랑 듸궁이/더벙머리 아히놈아/게 좀 셕거라/말 물러보자/져긔 저 건너 웅덩이 속의 지지밤/장마의 고기가 슉굴만니 모얏기로/죠리 죵 다락기에 가득이 담아/집흘 만이 츄려 먹에를 질너네/쇠 궁둥이에 언져/쥭게 지는 역로(曆路)에/임(任)의 집 전(傳)허여 쥬렴/우리도 사주팔자기박(四柱八字奇薄)여/나무집 무엄 사는 고로/식전(食前)이면 쇠물을 허고/나지면 농사(農事)를 짓고/밤이면 기를 고/정(正)밤중이면 언문자(諺文字)나 더 보고/한달레 슐담베 겻들려 수백번(數百番) 먹는 몸이기로 전(傳)헐둥말둥.
장단은 한 단위의 자수(字數)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흥겨운 볶는 염불장단으로, 일종의 엮음식 노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육칠월흐린날 [六七月─]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장기타령
서울지방 민요 가운데 한 곡이다. "장기타령"이라 하여 장기(將棋)에 관한 사설만 있는 것이 아니고 곡의 마지막 절을 장기에 관한 사설로 엮어나가기 때문에 "장기타령"이라 붙여진 것이라 한다. 1~4절까지는 갈매기 날아드는 중국 오호(五湖)의 풍경, 집을 짓고 고사를 지내면서 덕담하는 내용, 육로와 수로로 제주(濟州)에 들어가 한라산을 묻는 내용, 평양기생들의 나비춤 추는 장면을 과장하여 읊는 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진타령장단에 얹어 부르며, 노랫말은 아래와 같다. [네이버 지식백과] 장기타령 (국악정보, 2010. 7., 국립국악원)
5.곰보타령
[휘모리잡가] 중에서 가장 풍자(諷刺)와 해학(諧謔)과 과장으로 엮어진 "곰보타령"은 인물이나 물질이나 간에 몹시 얽은 것만을 골라서 재치 있게 엮어낸 노래이다. 이 "곰보타령"의 시작은 '칠팔월 청명일(淸明日)에 얽은 중이 시냇가로 내려온다. 그 중이 얽어매고 푸르고 찡그리는 장기 바둑판 고누판 같고, 멍석 덕석 방석 같고, 운운'이다. "곰보타령"은 "생매잡아"·"만학천봉"·"병정타령"·"비단타령"·"맹꽁이타령"·"순검타령"·"기생타령"과 함께 [휘모리잡가]의 한 곡이다. "곰보타령"의 처음에는 높은 소리로 '7·8월 청영일에' 하고 질러 내고, '그 중이 얽어매고 푸르고 찡그리는 장기 바둑판 고위판 같고' 다음부터 자진타령을 단순한 가락으로 반복하며 사설을 총총히 엮어나간다. 끝에 '길 길은 농아란 놈은'에서부터 시조와 같은 창법을 쓴다. 사설 내용은 얽은 중이 냇가에 오면 고기들이 달아난다는 것으로, 중의 얽은 모습을 온갖 것에다 비유하여 노래를 부르는 해학적인 재담소리이다. "곰보타령"은 "만학천봉(萬壑千峯)" 다음에 불리는 노래이다. 이 노래의 가사를 분석한 결과 "곰보타령"은 육당본(六堂本)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전하는 '김수장(金壽長)'의 사설시조(辭說時調)인 "곰보가"와 관련됐으리라고 추정되고 있다. 볶는타령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이 노래의 첫 대목은 높은 소리로 시작하여 중간에 촘촘히 사설을 엮어나가다가 끝 부분은 시조의 창법(唱法)처럼 불린다.
"칠팔월 청명일(淸明日)에 얽은 중이 시냇가로 내려를 온다/그 중이 얽어매고 푸르고 찡그리는 장기 바둑판 고누판 같고/멍석 덕석 방석 같고/어레미 시루 밑 분들 밑 같고/ ... 운운." [네이버 지식백과] 곰보타령 (한겨레음악대사전, 2012. 11. 2., 도서출판 보고사)
6.기생타령
서울지방 [휘모리잡가]이다. 한말 개화기 이후에 생긴 노래로, 화창한 봄날 한 기생이 산에 올라서 장안을 내려다보며 자신의 나이 · 문필 · 색태(色態) · 충의(忠義) · 기술 · 가무 등을 옛 명기들에 비겨서 과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자진타령장단으로 부르지만 자수에 따라 장단이 규칙적이지 않은 부분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생타령 [妓生打令] (국악정보, 2010. 7., 국립국악원)
7.생매잡아
서울 · 경기지방의 [휘모리잡가] 중 한 곡이다. [휘모리잡가]는 서서 부르는 잡가의 일종으로, 빠른 속도로 몰아간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휘모리잡가]가 언제부터 불렸는 지는 확실치 않지만 지금과 같은 틀을 갖춘 시기는 "긴잡가"나 "산타령"보다 후대(後代)인 1900년대 초반일 것으로 추측된다. 대체적으로 우스꽝스러운 내용의 사설을 지니고 있고, 빠르고 촘촘히 엮어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생매 잡아"는 옛 가집인 [청구영언]에 수록된 장형시조를 개작하여 [휘모리잡가]로 부른 것으로, 생(生)매를 잡아 길을 들여 꿩사냥을 보내고 백마를 손질하여 뒷산에 매어두고 고기잡이하는 풍취를 담고 있다. 자진타령에 맞춰 부르며, 노랫말은 아래와 같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매 잡아 (국악정보, 2010. 7., 국립국악원)
8.맹꽁이 타령
서울 및 경기지방에서 전승되는 [휘모리잡가] 가운데 한 곡이다. 빠른 속도로 몰아간다는 뜻을 지닌 [휘모리잡가]가 언제부터 불렸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지금과 같은 틀을 갖춘 시기는 "긴잡가"나 "산타령"보다 후대인 1900년대 초반일 것으로 추측된다. 대체적으로 우스꽝스러운 내용의 사설을 지니고 있고, 빠르고 촘촘히 엮어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맹꽁이타령"은 맹꽁이의 세계를 통해 인간사회를 익살스럽게 풍자하는 내용으로, 자진타령장단을 쓰나 약간의 변화를 줄 때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맹꽁이 타령 (국악정보, 2010. 7., 국립국악원)
9.바위타령
서울지방 [휘모리잡가] 가운데 한 곡이다. 빠른 속도로 몰아간다는 뜻을 지닌 [휘모리잡가]가 언제부터 불렸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지금과 같은 틀을 갖춘 시기는 "긴잡가"나 "산타령"보다 후대인 1900년대 초반일 것으로 추측된다. 대체적으로 우스꽝스러운 내용의 사설을 지니고 있고, 빠르고 촘촘히 엮어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휘모리잡가]는 자진타령장단으로 노랫말을 엮어 나가다가 그 종장에 가서 한두 마디 시조 창법을 쓰는 것이 보통인데, "바위타령"은 시작과 끝 부분에 노랫가락의 선율을 사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바위타령 (국악정보, 2010. 7., 국립국악원)
10.한잔 부어라
술 마시는 멋을 읊은 이 노래는 [휘모리잡가] 중에서 가장 짧은 노래이다. 그 가사는 '이창배(李昌培)'의 [韓國歌唱大系]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한 잔 부어라, 두 잔 부어라, 가득 수북 철철 부어라/면포 잔포 유리왜반에 대안주 곁들여/초당문갑 책상 위에 앉었더니/술 잘 먹는 유영(柳永) 이태백(李太白)이 내려와/반이나 넘어 다 따라 먹고 잘 돌렸나 보다/기왕에 할 일 없고 할 수 없으니/남은 달 남은 술 정든 임 갖추어 가지고/ ... 운운." [네이버 지식백과] 한잔부어라 (한겨레음악대사전, 2012. 11. 2., 도서출판 보고사)
11. 비단타령
서울·경기지방 [휘모리잡가] 가운데 한 곡이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옛 비단 이름을 주워 엮는 노래다. 창법은 보통 [휘모리잡가]와는 달리, 이야기책을 읽어나가는 듯한 송서식(誦書式)으로 노래 부르는 점이 특징적이다. 구한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현재는 부르는 이가 드물다. 온갖 종류의 비단을 나열한 뒤, 각종 비단을 많이 사가지고 집으로 들어오면 비단에 귀신이 따라온다는 미신에서 경문(經文)을 읽어 귀신을 쫓는 것으로 노래를 마친다. 곡조도 경(經)을 읽는 듯하며, 장단은 4박 장단을 조금 빠르게 친다. [네이버 지식백과] 비단타령 [緋緞打令] (국악정보, 2010. 7., 국립국악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