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정신문화를 찾아서' 떠나는 여행 그 두 번째 [극락에서 다시 만나리 (제망매가-祭亡妹歌)]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절이 있다. 절을 지은 이유는 부처님의 말씀에 다가가기 위해서다. 다시 말하면 절은 사람과 불교를 이어주는 다리인 셈이다. 불국사에 가면 뒤편에 불국사 보다 더 크고 아름다운 절이 하나 더 있다. 그 절은 눈을 감아야만 보이고, 말없음으로 우리에게 큰 가르침을 주는 불교다. 그런데 사람들은 불국사를 보러 가서 불교는 보지 못하고 불국사만 보고 온다.
경주에 가면 석굴암, 첨성대, 안압지 등 곳곳에 저마다 개성 있는 신라의 유적들이 우아한 자태로 빛나고 있다. 이 유적들은 신라의 혼이 녹아 스며든 건축물이다. 이는 그냥 지은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정신과 가치가 담겨 있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유적들을 찾는 이유는 이를 통해 신라를 보기 위함이다. 하지만 그 건축의 아름다움에만 감탄을 할 뿐 이를 통해 신라를 제대로 보려는 사람은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향가’에는 신라의 정신이 담겨 있다. 불교가 바탕이 되어 불국사가 만들어졌듯이 신라는 향가라는 정신문화의 한 축이 뒷받침하여 건설한 나라다. 즉 석굴암, 첨성대, 안압지 등을 지은 정신문화의 기반 중 하나가 향가이다. 향가의 노랫말 속에는 웃고 울던 신라 사람들의 삶이 잘 스며들어 있다. 그렇기에 불국사를 보면 불교가 보이고, 향가를 보면 신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번 발표곡 [극락에서 다시 만나리(제망매가)]는 [내 통장 적금을 깨라(안민가)]에 이은 ‘우리의 정신문화를 찾아서’ 두 번째 작업이다. 이어 고려가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그대와 이별하고 싶어요(정석가)], 황진이의 시조에 곡을 붙인 [황진이]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노래들은 삼국시대부터 2010년대까지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를 살펴보는 책 『한국인이 즐겨 부른 노래 향가에서 BTS까지(산과들)』, (2021년 9월 간행 예정)의 실천 작업이다. 이 기획은 우리 정신적 문화재를 지킨다는 면에서, 또 우리 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한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극락에서 다시 만나리(제망매가)]는 신라의 K-pop이라 할 수 있는 향가 [제망매가]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부른 노래다. 노래의 1절은 현대인이 알기 쉽게 풀이한 가사로 불렀다. 2절은 신라시대의 말을 그대로 재현해 보았다. 하지만 완벽한 신라어라고 하기는 어렵다. 그렇기에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해석이 분분하다. 전통을 이야기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국악을 생각한다. 하지만 이 곡은 힙합과 R&B 계열의 노래다. 일부 음악인의 분발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악은 대중들의 관심에서 조금 떨어져 있다. 또 옛 노래라고 꼭 국악의 음률에 담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통의 가치는 재현이 아니라 창조적 계승에 있다. 임진왜란 때 거북선이 최고의 전투함이었다고 해도 현대 해군이 그대로 재현해서 쓸 수는 없다. 진정 우리가 이어받아야 할 것은 재현이 아니라 거북선을 만든 유비무환의 정신이다.
[제망매가] 내용 해설: [제망매가]는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로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라고도 한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월명사가 제사를 지내며 이 노래를 불렀더니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일어 지전(紙錢)이 서쪽으로 날아갔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주술성을 지닌 노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노래는 혈육의 죽음으로 인한 정서의 표출이므로 순수 서정의 노래라 할 수 있다. 이 노래는 단순히 죽음을 감상적으로 드러내는 데 그치지 않고 삶과 죽음의 문제를 깊이 성찰하고 있다. 뛰어난 비유로 향가 가운데서도 가장 우수한 문학성과 고도의 서정성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4구에서는 누이의 죽음을 맞이한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느끼는 두려움과 안타까움이 드러난다. 5~8구에서는 삶과 죽음의 문제를 나무와 낙엽에 견주어 말하고 있다. 같은 나뭇가지에 난 잎이지만 떨어질 때는 제각기 흩어져 떨어지는 나뭇잎으로 남매의 이별을 비유했다. 9~10구에서는 이별의 슬픔을 불교적으로 승화시키면서 극락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원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