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의 또 다른 이야기
전통 가락과 현대 리듬이 혼합되어있는 곡이다. 복잡한 가락보다는 깊이있는 가락으로 절제미와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다. 두 곡 모두 매듭을 풀듯이 점차적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연주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내고, 달고, 맺고, 푸는 구성인 기·경·결·해를 쉽게 볼 수 있다. 연주자들의 높은 음악적 기량과 호흡을 통해 집단적인 음악이 더욱 돋보이는 곡이다.
1. 삼도 설장구
삼도 설장구란 장구 연주자가 혼자 나와 발림과 화려한 장구가락을 선보이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 곡은 여럿이 나와 장구 연주를 하는데, 다스름, 굿거리, 자진모리, 동살풀이, 휘모리 순으로 연주한다. 천천히 시작하여 점점 빨라지는 만·중·삭 형식을 가진 산조와 유사하다. 여유로움과 풍성함을 보여주며, 혼합박자의 개념을 익힐 수 있다.
1-1.다스름 --------------------------0 ~ 5‘14“
1-2. 굿거리 --------------------------5‘14“~11’05”
1-3. 자진모리 --------------------------11‘05“~15”38“
1-4. 동살풀이 --------------------------15‘38“~20’25”
1-5. 휘모리 --------------------------20‘25“~23’51”
장구 : 김현수, 김경민, 김유찬, 김미소, 조현진
2. 삼도 사물놀이
삼도 사물놀이 곡은 예전의 김용배 선생님과 전수덕 선생님 가락으로 선생님들의 뛰어난 음악적 요소들을 재해석한 작품이다. 꽹과리, 징, 장구, 북 총 네 가지 타악기로 다채로운 합주를 보여주며, 연주자들의 기교와 우리가락에서 나오는 폭발적인 에너지를 쉽게 느낄 수 있다. 그 속에서도 긴장과 이완의 멋이 존재하고, 음과 양의 조화로 가죽악기와 쇠악기의 특징을 잘 살려내기도 하였다.
상쇠 : 김현수 / 부쇠 : 김미소 / 징 : 조현진 / 장구 : 김경민 / 북 : 김유찬
2-1. 점고 -------------------------0 ~ 1‘00“
2-2. 얼림굿 --------------------------1‘00“~1’46”
2-3. 오채질굿 --------------------------1‘46“~4”21“
2-4. 우질굿 ------------------------- 4‘21“~5’05”
2-5. 좌질굿 --------------------------5‘05“~6’10”
2-6. 풍년굿 --------------------------6‘10“~6’27”
2-7. 굿거리 --------------------------6‘27“~11’53”
2-8. 양산도 --------------------------11‘53“~14’12”
2-9. 자진모리 --------------------------14‘12“~19’29”
2-10. 마당삼채 --------------------------19‘29“~20’30”
2-11. 별달거리 --------------------------20‘30“~22’11”
2-12. 휘모리 --------------------------22‘11“~25’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