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훈' [일심]
시대의 민요를 부르는 젊은 소리꾼이다. 국립국악중, 고등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으로 18년 동안 전통음악의 길을 걷고 있다. 2002년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국내 최연소(7살)로 중요무형문화재 57호 경기12잡가를 완창 발표하였으며 이어 2004년엔 최연소 시조완창, 2014년엔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최연소로 창부타령 개인 완창 콘서트를 가졌다.
2016년 1월 - 8월까지 BBS불교방송 국악이좋아요 고정진행패널로 활동했으며 각종 방송, 라디오, 공연 등 활발한 활동을 통해 옛 민요를 그대로 보존하며 시대의 새로운 노래로 불러내는데 힘쓰고 있다.
2002년 11월1일 '전병훈'이 7세의 나이로 중요무형문화재 제 57호 경기12좌창(잡가)를 최연소 완창했다. 당시 kbs, ytn, 동아, 조선일보 등 언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2시간 가량 동안 12곡을 완창했는데 2016년 현재까지 그 기록은 깨지지 않았다.
이번 새 앨범은 [일심]이라는 제목으로 회심곡 불가조, 회심곡 소리조, 탑돌이, 비나리가 수록되었다.
-Track Review-
1. 회심곡 (불가조)
현재 불가조(佛歌調) 및 소릿조 두 종류의 "회심곡"이 전하는데. 불가조의 노래가 옛 것에 가깝다.
2. 회심곡 (소리조)
현재 불가조(佛歌調) 및 소릿조 두 종류의 "회심곡"이 전한다. 불가조의 노래가 옛 것에 가깝고, 소릿조는 옛 것 중 좋은 것만을 골라서 근래 새로 짠 노래이다. 소릿조의 "회심곡"은 불가조의 "회심곡"과 대동소이하나, 짧게 줄여서 재미있는 대목만 발췌한 노래이다.
3. 탑돌이
민요풍(民謠風)으로 불리는 이 노래 가사는 불교의 명절일 음력 4월 초파일(初八日)의 관등(觀燈)놀이와 찬불(讚佛)의 내용이다. 사람에 따라서 이 노래를 경기민요(京畿民謠)의 한 곡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4. 비나리
사물의 가락 위에 축원과 고사덕담의 내용을 담은 노래를 얹어 부르는 우리민족 고유의 신앙행위이다. 어원은 정확하지 않으나 소원을 비는 행위를 나타내는 '빌다', '비나이다'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사(告祀)소리는 고사반, 고사덕담이라고도 부르는데 비나리는 순우리말로 소리의 성격을 뚜렷하게 보여준다고 여겨 많이 사용된다. 마당굿을 마친 후 걸립패(乞粒牌 : 고사, 축원을 해주고 돈과 곡식을 얻는 풍물패)의 풍물재비가 고사 상 앞에서 부르는 소리로 알려져 있다. 주요 내용에는 축원덕담, 천지개벽, 살풀이, 액풀이 등을 담고 있다. 김덕수사물놀이패와 이광수 비나리 명인의 비나리작품을 자습하여 녹음, 수록하였는데 해금, 거문고, 태평소연주를 삽입하여 좀 더 대중적이고 새롭게 구성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비나리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