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서 내용 :
韶南 李珠煥 先生 逝去 四十주기 추모
소남 이주환 선생은 1909년 5월 24일 종로 관수동 30번지 이직상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선생의 관은 흔치않은 초산(楚山)이요 본명은 복길(福吉)이었다.
1926년 이왕직 아악부 3기로 입소하여, 동기 18명 중 김보남, 이석재, 이점룡과 같이 피리를 전공했다. 동창 중에 연세가 한 두 살 위셨던 선생은 일찍이 학과는 물론 실기에도 천부적 재주를 가졌으니 무용수로도 기악으로도 정가로도 단연 우세했다. 학생회장으로서 율려악회를 조직했고 선후배를 두루 아우르며 크고 작은 일에 앞장섰으며 연주회의 불참 악기는 으레 대신 메꾸었을 만큼 못다룬 악기가 없었다.
빠른 음악에서 굼뜨던 양금채를 양손으로 연주하는 솜씨를 개발했고, 범사 함화진 선생을 중심으로 국악곡 전체를 양악보로 옮겨 세계 속으로 우리 음악을 소개하는데 선두에 서서 총괄했다. 그 악보는 현재 국립국악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상당수를 연구실에서 영인본으로 출판하고 있으니 늦은 감은 있으나 후학들에게 큰 표본이 될 것이다.
1937년 선생이 아악 수장으로 발령 받으니 同學들 중 첫 번 입신으로 후일 국립국악원 초대 원장의 전초가 되었다. 하규일 선생을 모셔 남녀가곡 전바탕을 이수하였고, 12가사 중 하규일 선생이 전수못한 매화가, 처사가, 양양가, 수양산가를 임기준 선생을 다시 모셔 이수 받았다.
일찍이 무보까지 발간한 것은 탄복할 일이며, 하규일 선생의 32정간 정간보를 16정간으로 확립하여 부호를 붙여 가락을 완벽히 보강 출간하였고 그것이 오늘날 악보의 효시가 된다.
6.25 전란 중에 부산으로 옮긴 아악부가 1950년 국립국악원 설립령을 받았으니 선생이 주도한 공이었으며 초대원장 추대야 당연지사로 여길 것이다.
1951년부터 1962년 까지 선생의 국립국악원장 재직은 국악계 전반에 반석을 다지고 큰 발전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으며, 오늘날 국악계가 홍복을 누리는 공으로 여겨 마땅할 것이다. 1969년 가곡이 30호로, 다음해에 가사가 41호로 두 종목에 문화재로 지정 받으셨고 네 명에게 전수를 했으나 1972년 선생의 서거로 전수기일이 짧아 김호성의 법적 이수로 끝을 맺었다. 50세 이상이어야 보유자가 되는 문화재법으로 후계를 잇지 못하다가 삼년 이상 세월의 난산 끝에 전효준, 홍원기, 정경태, 김월하, 이양교가 대를 이었고 이제 다음 세대의 시대를 맞고 있다. 그동안 선생 타계 후 많은 공간 속에서 별별 사건들을 겪으며 전락되고 격하된 상태로 세월이 흘렀으니 애석하고 안타깝다.
이제 서거 40주기를 맞아 조촐한 추모연주회와 더불어 선생께서 생전에 부르신 남창가곡 15수에, 1958년 지금정 여사, 그리고 1970년 김월하 여사와 함께 부른 태평가 2수를 덧붙여 두 장의 음반에 담았다. 이 원본이 정가를 전공하는 후학들에게 좌표가 되고, 지침이 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소망을 가지고 있다. 이어서 평생 十二가사 중 九詞만 전수하신 음원을 이어 제작코자 한다.
음반이 나오기까지 물심양면으로 신경써준 국악 동호인 양정환님께도 감사한 마음을 표하고자 한다.
2012.11.
국립국악원 원로사범 김호성
韶南 李珠煥 先生 年譜 / 정리 / 김우진
1909.5.24 본적 서울 종로구 관수동 30번지에서 楚山<井邑>
이씨 稷相과 모 崔姓女 사이의 2남(快吉,福吉) 중 2남으로 출생
초명 / 福吉 아호/ 韶南
1926.3 校洞공립보통학교 졸업
1926.4 이왕직雅樂部員 양성소 3기생 입소
1927.4 하규일선생에게 가곡 가사 시조 전수(10년간)
1928 雅樂복고를 위하여 展樂會 결성
1931.2 愼昌熙여사와 결혼
1931.3 이왕직雅樂部員 양성소 졸업
1931.4-1937.10 이왕직雅樂部 雅樂手(이왕직장관 발령)
1933 경 이습회에서 양금 쌍채질을 복원 시주 발표
1933 경 정간보에 율자 대신 약자로 기보하는 방법 건의
1935.7.28 남창 가곡 채보 완성
1935.8.26 愼昌熙여사 별세
1937.11-1941.6 雅樂手長 승진(일본궁내대신 발령)
1937.12 여창 가곡 채보 완성
1938 임기준 선생에게 가사, 사설지름시조를 이수
1938.6.30 珠煥으로 개명
1938.12 선산金氏 敎興의 女 玉順 여사와 재혼
1939 12가사 채보 완성
1939.12 한성준선생에게 승무 사사 및 채보 완성
1941.7-1945.8 雅樂師 승진(일본궁내대신 발령)
1942 경 박람회 연출
1942 경 종로권번 가곡 사범, 무용 사범
1943.4 만년장환지곡(후에 가곡보의 전신)등 간행
1945.8 舊王宮雅樂部 雅樂師(교양부장)
1946.7 시조연구회 결성(회장 이병기) 시조강습회를 개최
1946.9-1951.3 舊王宮雅樂部 제6대 雅樂師長(구왕궁 발령)
1946.10.11-14 전국향토민요민속무용 제1회 발표대회 심사위원
1946 제2회 전국 농악경연대회 심사위원
1947.11 문교부 주최 제2회 전국음악경연대회 국악부 심사위원
1948.6.5 “가곡 듣는 법” (국악학회 2회 발표)
1948.8 雅樂部 국가경영 국회 청원(대표 이주환)
1950.2.26 한국음악가협회 최고위원 피선
1951.4.9 국립국악원장 취임
1954.3.25 대한민국 초대 예술원 회원 피선
1954.10.1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 초대소장 겸임
1954.10.14 2급 공무원 고등전형시험(이사관) 합격
1954.10.24 “국악의 회고와 전망”(동아일보 4면)
1954.11 덕성여자대학 주최 제1회 전국국악경연대회 심사副委員長 겸 성악부 무용부 심사위원
1956.5.25 시용무보 해제
1956 국악진흥회 위원
1956.12.10 국악진흥회 제1회 국악상 수상(공로상)
1958.2.28 “시조에 대하여” (국악학회 26회 발표)
1958.5.15 제7회 서울시 문화상 수상
1958.9.9 <고금시조선> 등 간행
1958.11.9 “시조창” (동아일보 연재 / 총 20회)
1959.3.23-5.11 제2회 고급공무원 강습 (국립 공무원 훈련원)
1959 아름다운 국악의 역군 (서울중앙방송국 국악연구생 제1회 발표회)
1959.7.1 <가곡보> 등 간행
1960.6 <가사보> 등 간행
1960.7.7 <전악선생안> 편
1960 경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강사
1961.7.10-14 고급공무원 훈련 (국립 공무원 훈련원)
1961.12.15 “시조창의 연구” (예술원보 7집)
1961.12.25 국립국악원장 사임
1962.1 국립국악원 고문
1962.2.28 “시조의 제문제-주로 排字 문제” (국악학회 81회 발표)
1962.4.1-1972.9.1 국악사 양성소 (현국악고등학교) 강사
1962.5.16 5.16 1주년 기념공연
1962.9.15 <가곡보 속> 등 간행
1962.12.1 <한국연예대감> 편집지도위원
1962 당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강사
1962 당시 한국국악협회 부이사장
1963.2.21 <시조창의 연구> 등 간행
1963.3.23-9.14 “다 같이 시조를” (문화방송 매주 일요일 총 26회
1964.1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감사
1964.3.12-24 국립국악원 국악연주단 도일공연 감독
1964.10.30 국악기 개량 연구위원회 위원
1964.12.5 국립국악원 국악기 개량 연구위원으로 양금과 철관대금을 연구
1965.5 가곡회 회장
1965.12.5 “선가 하규일선생” (예술원보 9집)
1966.11 “雅樂部 회고” (예술원보 10집)
1967.3.17 국립국악원 주회 아악연주회 출연 (가곡)
1967.4.21-25 국립국악원 국악기 개량 연구위원으로 철관대금 철관소금 철관단소를 제작 전시
1967.5.15 국립국악원 공모 신국악작곡 심사위원
1967.12.28 국립국악원 주최 국악사양성소 준공기념 연주회
1968.3 사단법인 한국정악원 이사
1968 가사 9곡 녹음, 1989년에 <이주환 가곡 가사 선집>으로 출반됨
1968 “언락” “편수대엽” “태평가” <국악정선>
(서울 / 유니버샬레코드 제작소) 취입
1968 가곡 중 “우조 초수대엽” “언락” “편락” <국악대전집>
(서울 /신세기레코드주식회사) 취입
1968.11.21 대통령 表彰狀 (冬柏狀) 수상
1969.5.24 신문회관 강당에서 華甲宴
1969.8.14 국립국악원 주최 제24주년 광복절 경축 국악의 밤
1969.11.10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 보유자 지정
1970.10.8 제7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출연
1970.12.14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가사)예능보유자 지정
1971 소남가곡선집 출반(LP 3매)
1971 가곡, 가사 영상물(제작 / 김용)
1971.2.11 가곡, 가사 전수소 개설
1971.4.12 국립국악원 개원 20주년 국악연주회 출연
1971.7.17 예술원상 수상
1971.10.19 제8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출연
1971.12.11 한국정악원 이사장
1972.5.20-21 제1회 가곡경연대회 개최
1972.4.21 사단법인 가곡보존회 이사장
1972.5.6 한국음악선집 제1집 ‘태평가“ 취입
1972.11.30 서울시 마포구 동교동 5번지 (현 서대문구 동교동 31-3) 자택에서 서거
1972.12.4 경기도 남양주군 일영 신세계 공원묘원 유택에 안식
1973.5.19 제2회 전국가곡경연대회
1976.10.3 소남상 제3회 전국남녀 가곡 경연대회
1982.11.15 10주기 추모 음악회(주최 / 국립국악원, 한국정악원)
1987.11.20 15주기 추모 <시조창의 연구> 출판기념회
1989.4 <이주환 가곡.가사 선집> 출반 <가곡보> 합본 출판 (지구레코드사 제작)
1994 흉상 제작 착수
1995 흉상 제막(국립국악원 국악 인물 공원)
1997 25주년 추모 음악회 (주최 / 서울가악회)
2001.4.10 은관문화훈장 추서(제151호)
2002.9.27 30주기 추모 음악회
2002.11.29 30주기 추모 음악회 (주최 / 국립국악고등학교 동창회)
2009.12.16 탄신 100주년 기념행사 (주최 / 국립국악고등학교 동창회)
2012.11.29 서거 40주기 추모음악회 (주최 / 국립국악고등학교 동창회, 국립국악원 예악당)
저서 논문 수필 및 잡문
-“국악의 회고와 전망” (동아일보 1954.10.24)
-“시용무보해제” <민속학보> (서울/민속학회.1956)제1권 제1집
-<고금시조선> (서울/시조연구회.1958)
-“시조창”(동아일보 1958.11.9 연재)
-<가곡보>(서울/국립국악원 가곡연구회, 1959)
-<가곡보>(서울/국립국악원 가곡연구회, 1960)
-<전악선생안>(서울/국립국악원. 1960)
-“시조창의 연구”<예술원보>(서울/대한민국예술원.1961) 제7집
-<가곡보 속>(서울/국립국악원 가곡연구회. 1962)
-<시조창의 연구> (서울/시조연구회.1963)
-“선가 하규일선생”<예술원보>(서울/대한민국예술원.1965)제9집
-“아악부 회고<예술원보>(서울/대한민국예술원.1966)제10집
-<가곡과 시조> 등 사본
음반 및 테이프
-<소남가곡선집> 서울/가곡보존회.1971.그랜드레코드사 제작
-<이주환 가곡 가사 선집> 1989.4. 지구레코드사 제작
-“태평가”<한국음악선집>1집(서울/지구레코드.1972.5.6)
- 1985.10.5 (주) 성음에서 카세트테이프로 복간
-“언락” “편수대엽” “태평가”<국악정선> (서울/유니버샬레코드사 제작소 1968)LP레코드 6매
- 가곡 중 “우조 초수대엽”, “언락”, “편락”<국악대전집>(서울/신세기레코드주식회사.1968)LP레코드 30매
-(민 1240.1-1240.30) 1976년 힛트레코드사에서 복간
-<이주환 가곡> “우조초수(동창이)” “언락(벽사창)” “편락(나무도 바이)” 1977.3.30) LP레코드 1매
-(민 77326, 서울/힛트레코드사) -여창 이수대엽(최정희) 여창 우락과 함께 수록됨
-“우조 삼수대엽”, “계면초수대엽”, “계면삼수대엽”, “언롱”, “수양산가” <한국의 전통음악> (서울/국악보급진흥회.1986)카세트테이프
-“태평가”<국립국악원 개원 마흔돌 기념-잊을 수 없는 연주>(JCDS-0194 서울/지구레코드,1991) CD<9103-3777)
-30주기 추모 CD (AKO-0015 아트코리아,2002)
-탄신 100주년 기념 CD (TOPCD-s003 탑예술기획,2009)
-서거40주기 추모 CD (TOPCD-152 탑예술기획,2012)
수상
1956.12.10 국악진흥회 제1회 국악상 수상(공로상)
1958.5.15 제7회 서울시 문화상
1968.11.21 대통령 表彰狀 (冬柏狀) 수상
1971.7.17 예술원상 수상
2001.4.10 은관문화훈장(151호) 추서
관련된 글
-성경린 <고금시조선> 서평 (1958)
-성경린 “이주환님의 생애와 그 예술” <예술원보>(서울/대한민국예술원,1973) 제17집
-성경린 “국악에 바친 한 평생-고 이주환형 영전에” 대한일보 1972.12.4 <雅樂>(서울/경원각.1975)P221-223
-성경린 “제1대 소장 이주환선생” <국악교육30년>(서울/국악고등학교.1985) P94-96
-<가곡>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 56호 조사지/성경린,김기수 문화재관리국 1969
-“반생을 국악에 바치고-국립국악원장 이주환” 1960(단기 4293년 음악신문 프로필)
가사
CD1
1. 우조 초수대엽 / 동창이....
초장 ; 東窓이 밝았느냐
二장 : 노고지리 우지진다
三장 : 소치는 아희놈은 상긔 아니 일었느냐
四장 : 재넘어
五장 :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허느니
2. 우조 이수대엽 / 강호에....
초장 ; 江湖에 期約을 두고
二장 : 十年을 奔走허니
三장 : 그오른 白鷗는 더디온다 허려니와
四장 : 聖恩이
五장 : 至重허시니 갚고 가려 하노라
3. 우조 삼수대엽 / 도화이화....
초장 ; 桃花李花杏花 芳草들아
二장 : 一年春光을 限치마라
三장 : 너희는 그리허여도 與天地 無窮이라
四장 : 우리는
五장 : 百歲 뿐이니 그를 설워 하노라
4. 우조 소용이 / 불아니....
초장 ; 불아니 땔지라도
二장 : 절로 익는 솟과
三장 : 여무죽 아니 먹여도 크고 살져 한것는 말과
길삼 잘허는 女妓妾과 술 샘는 酒煎子와 眻부로 낳은 감은 암소
四장 : 平生에
五장 : 이 다섯가지를 두량이면 부러울 것이 없어라
5. 우조 언락 / 벽사창....
초장 : 碧紗窓이 어룬어룬커늘
二장 : 임만 여겨 펄떡 뛰어 나가보니
三장 : 임은 아니 오고 明月이 滿庭헌데 碧梧桐 젖은 잎에 鳳凰이 와서
긴목을 후여다가 깃다듬는 그림자로다
四장 : 마초아
五장 : 밤일세망정 항여 낮이런들 남우일번 허여라
6. 반우반계 편락 / 나무도....
초장 : 나무도 바히도 돌도 없는 메에
二장 : 메게 휘쫓긴 가톨의 안과
三장 : 大川 바다 한가운데 一千石 실은 배에 櫓도 잃고 닷도 끈코 용총도 걷고 키도 빠지고 바람 불어 물결 치고 안개 뒤섯겨 자자진 날에 갈 길은 千里萬里 남고 四面이 검어 어득저뭇 天地 寂寞 가치놀 떳는데 水賊 만난 都沙工의 안과
四장 : 엇그제
五장 : 임여힌 나의 안이사 엇다가 가흘하리요
7. 반우반계 반엽 / 삼월삼일....
초장 : 三月三日 李白桃紅
二장 : 九月九日 黃菊丹楓
三장 : 靑苒에 술이 익고 洞庭에 秋月인저
四장 : 白玉杯
五장 : 竹葉酒 가지고 玩月長醉 하리라
CD 2 :
1. 계면 초수대엽 / 청석령.....
초장 : 靑石嶺 지나거다
二장 : 草河衢 어드메오
三장 : 湖風도 차도찰사 구진비는 무엄일고
四장 : 뉘라서
五장 : 내行色 그려내어 님계신데 드리리
2. 계면 이수대엽 / 잘 새는....
초장 : 잘새는 날아들고
二장 : 새달이 돌아온다
三장 : 외나무 다리로 홀로 가는 저 선사야
四장 : 네절이
五장 : 얼마나 허관대 遠鐘聲이 들리느니
3. 계면 삼수대엽 / 석양에....
초장 : 夕陽에 醉興을 겨워
二장 : 나귀등에 실렸으니
三장 : 十里溪山이 夢裡에 지나거다
四장 : 어디서
五장 : 數聲漁笛이 잠든 나를 깨우느니
4. 계면 언롱 / 이태백....
초장 : 李太白의 酒量은 귀어떠허여
二장 : 一日須傾 三百盃허고
三장 : 杜牧지 風采는 귀어떠허여 醉過楊州 橘滿車런고
四장 : 아마도
五장 : 이 둘의 風度는 못미츨가 하노라
5. 계면 계락 / 철총마....
초장 ; 鐵驄馬 타고 甫羅매 받고
二장 : 白羽長箭 千斤角弓 허리에 띠고
三장 : 산넘어 구름지나 꿩사냥 허는 저 한가헌 사람
四장 : 우리도
五장 : 聖恩 갚은 후에 너를 조차 놀리라
6. 계면 편수대엽 / 진국명산....
초장 : 鎭國名山 萬丈峰이
二장 : 靑天削出 金芙蓉이라
三장 : 巨擘은 屹立허여 北主三이요 寄岩은 陡起허여 南案蠶頭로다 左龍駱山 右虎仁旺 瑞色은 盤空凝象궐이요 淑氣는 鍾英出人傑허니 美哉라 我東山 河之固여 聖代 衣冠太平 文物이 萬萬世之 金湯이로다
四장 : 年豊코
五장 : 國泰民安허여 九秋黃菊 丹楓節에 麟遊而鳳舞커늘 緬岳登臨허여 醉飽盤桓 허오면서 感激君恩이삿다
7. 계면조 언편 / 한송정....
초장 : 寒松亭 자긴 솔 뷔어
二장 : 조고마치 배 무어 타고
三장 : 술이라 안주 거문고 가얏고 해금 琵琶저 피리 杖鼓 巫鼓 工人과 安岩山 차돌 日本부쇠 老狗山水露 취며 螺鈿대 궤귀삼이 江陵女妓 三陟酒湯년 다모아 실고 달밝은 밤에 鏡浦臺로 가서
四장 : 大醉코
五장 : 孤曳乘流하야 叢石亭 金蘭屈과 永郞湖 仙遊潭으로 任去來를 하리라
8. 태평가 / 이랴도....
초장 : (이랴도) 太平聖代
二장 : 저랴도 (太平)聖代로다
三장 : 堯之日月이요 舜之乾坤이로다
四장 : 우리도
五장 : 太平聖代니 놀고놀려 하노라
9. 태평가 / 이랴도....여창:지금정
초장 : (이랴도) 太平聖代
二장 : 저랴도 (太平)聖代로다
三장 : 堯之日月이요 舜之乾坤이로다
四장 : 우리도
五장 : 太平聖代니 놀고놀려 하노라
10. 태평가 / 이랴도....여창:김월하
초장 : (이랴도) 太平聖代
二장 : 저랴도 (太平)聖代로다
三장 : 堯之日月이요 舜之乾坤이로다
四장 : 우리도
五장 : 太平聖代니 놀고놀려 하노라 ....
![](http://i.maniadb.com/images/btn_back.gif)
![](http://i.maniadb.com/images/btn_more.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