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은 우리 조상들의 생활에 참 익숙했었다. 아들 낳기를 비는 굿에서부터 시작해서 병 낫게 해달라고 비는 굿, 농사 잘되게 하라고 비는 굿, 사람이 죽으면 천도하는 의식인 씻김굿까지 굿으로 이어지는 것이 한국인의 삶이었다. 이런 삶들이 현대 사회로, 문명사회로 발달하면서 점점 사라지고 퇴색되어지고 있다.
이 음반에 참여한 연주인들은 해남지방의 소리꾼들로 이루어졌고, 무녀 이장단이 주로 소리를 맡았으며 김대례도 참여했다. 진도씻김굿의 인간문화재 박병원도 함께 했는데 해남씻김굿과 진도 씻김굿은 사설이나 음악의 짜임새가 서로 거의 비슷하여 참여한 예인들도 쉽게 그 음악어법에 동화되어 연주할 수 있었다. 해남굿은 진도씻김굿에 비해 더욱 토속적이고 순박한 맛을 담고 있는 게 특징이다.
씻김굿은 넋굿, 지오기굿(경기), 수왕굿(평안도), 오구굿(경상도), 시왕맞이굿(제주도)등 한반도의 전역에 분포된 죽은 자를 보내는 의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죽은 영혼에 남아 있는 한을 이승에서 마지막으로 풀어주고, 편안히 저승으로 모신다는 것이 씻김굿의 주제이다. 특히 진도나 해남은 선이거나 해변에 위치하여 죽음과 장례의식이 특이하다. 초분장을 거쳐서, 육탈된 시신을 다시 매장하는 풍습이 의례의 발달과 세련을 가져왔다.
해남씻김굿의 무가 사설은 서사적 내용이 일관되게 긴 소리로 짜여져 있지는 않으나, 한 단락마다 매듭이 세련되게 창작되고 다듬어져 있으며, 가장 아름다운 소리로 되어 있다.
해남의 굿 음악인 시나위는 주제가 자유이다. 그러면서도 사람의 소리와 여러 악기들이 합쳐 재는 소리가 너무 조화롭다.</b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