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Edwin Moses
400미터 허들의 1인자 에드윈 모제스는 1977년 8월부터 1987년까지 122차례나 대회에 참가해 한 번도 지지 않으면서 무려 10년 동안이나 육상계를 평정했다. 1976년 올림픽 예선에서 48초 30으로 두각을 나타낸 모제스는 이후 미국과 전세계 허들종목에서 독보적인 선수로 자리 잡게 된다. 자신이 세운 세계 기록 47초02는 비로소 92년에야 깨졌다고 한다. 주로 육상 선수의 전성기는 올림픽 주기와 맞물린다. 그러나 모세스는 이를 뛰어 넘은 최고의 400m허들 러너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는 흑인들의 영웅이었고 또한 아프로-아메리칸에게 자랑스러운 무언가를 심어주었다. 그러나 천하의 에드윈 모제스(Edwin Moses)도 학창시절에는 한번도 달리기 대회에서 일등을 차지한 적이 없는 소년이었다고 한다. 그런 그가 이렇게 말했다.
“모든 패배 속에는 승리가 숨어 있다.”
Edwin Moses ? The Band
시에스타에서 여러 앨범들에 참여하면서 솔로작도 발표한 바 있는 현명한 프로듀서인 페드로 비질(Pedro Vigil)과 파블로 에라(Pablo Errea), 그리고 Gijon 출신의 소울 싱어인 루이지 나바로(Luigi Navarro)가 이 ‘에드윈 모제스 프로젝트’의 중심에 서 있다. 이들이 자신들의 프로젝트를 에드윈 모제스라 명명한 것은 물론 그에 대한 일말의 존경심에서 비롯되었지만 사실 이들은 1941년 일리노이주 시카고 태생의 또다른 에드윈 모제스라는 가상인물을 만들어 마치 그 사람이 80년대에 레코딩했던 간지로 씨디 부클릿에 기록하고 있다. 그러니깐 부클릿에 적혀있는 에드윈 모제스의 요약된 바이오그라피는 구라인 셈이다. 어쨌든 이들은 소울의 아이콘이라 할수 있는 커티스 메이필드 (Curtis Mayfield), 아이작 헤이즈(Isaac Hayes),그리고 마빈 게이(Marvin Gaye)와 배리 화이트(Barry White)등을 존경하고 있었는데 그들의 로맨틱한 소울작법에 엄청난 영향을 받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들은 97년에 처음으로 4곡의 EP를 녹음하게 된다. 그것들의 가사는 모두 스페인어로 이루어져 있는데, 훵키하고 로맨틱한 것들이 마치 전성기 시절의 모타운 사운드를 연상케 하면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후 2000년에 첫번째 셀프 타이틀을 발매하게 되면서 주목을 받는데, 주로 스타일 카운실(Style Council),이나 잭슨즈(Jacksons), 그리고 베리 화이트의 러브 언리미티드 오케스트라(Love Unlimited Orchestra)와 칙(Chic)의 팬들로 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이루어진 훵크 사운드가 버블검 팝을 만났다는 평가를 받으며 승승장구 했는데, 2003년에 발표한 이들의 대표작 <Love Turns You Upside Down>의 성공으로 스페인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한 요소들에 힘입어 이들은 더욱 자유롭게 자신들이 표현하고 싶은 것들을 마음껏 실행에 옮기게 된다. 그렇게 해서 발매된 것이 바로 2006년작인 본작 <The Gospel African Years>이다.
<The Gospel African Years>
전작의 성공은 이들의 창조 활동을 더욱 다양하게 만들어 주었다. 소울에 경도 되어있던 이들은 이제 흑인 음악의 뿌리인 아프로 사운드와 가스펠 뮤직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번 앨범에서 전작보다 돋보이는 부분은 가스펠 성가대의 도입과 퍼커션을 비롯한 리듬파트의 발전이다. 소울 뮤직의 클래식인 <Soulful Strut>의 멜로디를 첨가한 <My Place In The World>, 가장 유명한 가스펠 곡이며 한국에서는 영화 <시스터 액트 2>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Oh, Happy Day>의 후렴을 그대로 차용한 가스펠 튠 <A Brand New Day>, 이례적인 여성보컬의 참여로 팝적인 센스가 넘실대는 트랙 <Be Free>, 오히려 컨트리의 느낌이 짙은 가스펠곡 <Keep Me Everyday>, 전작을 연상케하는 언리미티드 오케스트라 풍의 트랙들인 <We're Not Going Back>과 <Black Working Class>등의 가지각색의 음악들로 가득하다. 전작보다는 훨씬 다양한 무언가를 시도 했다는 것이 중요하며 이들이 단순히 소울풀한 음악에 관심있다는 정도에 머문 것이 아니라 그것의 뿌리에 대해 막대한 탐구활동을 펼쳐보이고 있다는 증거물을 제출한 셈이다. 그러면서도 기본 바탕으로 깔고 있는 팝적인 센스 또한 놓치지 않고 있는데, 과연 백인들-그것도 유럽의 백인들-이 아프로 사운드와 가스펠 사운드에 대해 어디까지 탐구가 가능한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보고서라 하겠다.
전작에 이들이 발매했었던 앨범들의 경우, 약간의 시에스타 분위기를 느낄수 있었지만 이번 앨범의 경우엔 시에스타의 색깔은 거의 빠져버린 느낌이다. 시에스타의 경우 어떤 뮤지션의 음악을 듣더라도 확실하게 자신의 레이블 색깔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 앨범에서 만큼은 에드윈 모제스에게 많이 양보를 한 듯 보인다. 하지만 보다시피 본 앨범은 이례적으로 성공한 사례로 기록될 것 같다. 현재 외국의 여러 동영상 지원 사이트에서는 이들의 부틀랙 라이브 동영상들이 떠돌아 다니는데 모니모니해도 이러한 섹션의 소울풀한 음악들은 라이브로 들어야 제맛이라는 생각을 대부분의 소울 브라더들이 가지고 있을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이들의 한국 라이브가 진행중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는데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소울풀한 브라더앤 씨스터들은 긴장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한때 백인들이 흑인 음악을 하는 것에 대해 흑인 음악 애호가들은 많은 반발을 해왔다. 오히려 백인들이 역차별 되는 셈인데, 에드윈 모제스의 경우 오히려 흑인들을 넘어서는 뿌리에 대한 탐구를 보여줌으로서 도대체 피부색깔이 음악에 있어서 왜 중요하냐는 생각을 가지게끔 한다. 음악은 피부색깔과 시공간을 초월한 유기적인 무언가인 셈이다. 진정 그렇다.
* 출처 : 파스텔뮤직 홍보자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