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 1 | ||||||
---|---|---|---|---|---|---|
1. |
| 4:01 | ![]() |
|||
낙동강 강바람에 치마폭을 스치며
군인간 오라버니 소식이 오네 큰애기 사공이면 누가 뭐라나 늙으신 부모님을 내가 모시고 에헤야 데헤야 노를 저어라 삿대를 저어라 낙동강 강바람에 앞가슴을 헤치며 고요한 처녀가슴 물결이 이네 오래비 제대하면 시집 보내마 어머님 그말씀에 수줍어질때 에헤야 데헤야 노를 저어라 삿대를 저어라 에헤야 데헤야 노를 저어라 삿대를 저어라 |
||||||
2. |
| 2:31 | ![]() |
|||
울고왔다 울고가는 섫은 사정을
당신이 몰라주면 그 누가 알라 주나요 알뜰한 당신은 알뜰한 당신은 무슨 까닭에 모른체 하십니까요 만나면 사정하자 먹은 마음을 울어서 당신앞에 하소연 할까요 알뜰한 당신은 알뜰한 당신은 무슨 까닭에 모른체 하십니까요 |
||||||
3. |
| 2:58 | ![]() |
|||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 고향
언덕 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자주고름 입에 물고 눈물 젖어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 잊을 사람아 |
||||||
4. |
| 2:49 | ![]() |
|||
1.목이 메인 이별가를 불러야 옳으냐
돌아 서서 피눈물을 흘려야 옳으냐 사랑인란 이런가요 비내리는 호남선에 헤어지는 그인사가 야속도 하더란다 2.다시 못올 그 날짜를 믿어야 옳으냐 속는 줄도 알면서도 속아야 옳으냐 죄도 많은 청춘이냐 비내리는 호남선에 떠나가는 열차마다 원수와 같더란다 |
||||||
5. |
| 2:45 | ![]() |
|||
1.갈매기 바다위에 날지 말아요
물항라 저고리에 눈물 젖는데 저 멀리 수평선에 흰돛대 하나 오늘도 아---가신님은 아니 오시네 < 간 주 곡 > 2.쌍고동 목이메게 울지 말아요 굽도리 선창가에 이별 슬픈데 저 멀리 가물가물 등대불 하나 오늘도 아---동백꽃만 물에 떠가네 |
||||||
6. |
| 2:47 | ![]() |
|||
1.영산강 안개속에 기적이 울고 삼학도 아래 갈매기우는 그리운 내고향
목포는 항구다. 목포는 항구다 똑딱선 운다 2.유달산 잔디위에 놀던 옛날도 동백꽃 쓸어안고 울던 옛날도 그리운 내고향 목포는 항구다 목포는 항구다 추억의 고향 3.여수로 떠나갈까 제주로 갈까 비젖은 선창머리 돛대를 달고 그리운 내고향 목포는 항구다 목포는 항구다 이별의 부두 |
||||||
7. |
| 3:02 | ![]() |
|||
1. 하룻밤 풋사랑에 이 밤을 새우고
사랑에 못이 박혀 흐르는 눈물 손수건 적시며 미련만 남기고 말없이 헤어지던 아~ 하룻밤 풋사랑 2. 하룻밤 풋사랑에 행복을 그리며 가슴을 움켜 안고 애타는 심정 이밤도 못잊어 거리를 헤매며 눈물을 벗을 삼던 아~ 하룻밤 풋사랑 |
||||||
8. |
| 3:38 | ![]() |
|||
마지막 석양빛을 깃폭에 걸고
흘러가는 저 배는 어디로 가느냐 해풍아 비바람아 불지를 마라 파도 소리 구슬프면 이 마음도 구슬퍼 아~ 어디로 가는 배냐 어디로 가는 배냐 황포돛대야 |
||||||
9. |
| 3:07 | ![]() |
|||
꽃피는 시절엔 둘이서 가던길을
눈내리는 계절엔 나홀로 걸어가네 사랑한다고 변치말자고 맹세하던 그님은 어데로 가고 첫눈 내린 이 거리엔 슬픔만 가득찼네 새울던 언덕을 둘이서 걸어가며 변함없이 살자고 기약한 그사람아 언제까지나 함께살자고 믿고믿은 그마음 어디로가고 첫눈내린 이거리를 나홀로 걷게하나 |
||||||
10. |
| 3:08 | ![]() |
|||
물새야 왜 우느냐
유수같은 세월을 원망 말어라 인생도 한번 가면 다시 못 오고 뜬 세상 남을거란 청산 뿐이다 아- 아- 물새야 울지를 마라 물새야 왜 우느냐 천년 꿈의 사직을 생각 말어라 강물도 너와 같이 울 줄 몰랐어 백사장 벗을 삼고 흘러만 가리 아-아- 물새야 울지를 마라 |
||||||
11. |
| 3:07 | ![]() |
|||
한 많은 대동강아
변함없이 잘 있느냐 모란봉아 을밀대야 네 모양이 그립구나 철조망이 가로막혀 다시 만날 그때까지 아-아- 소식을 물어본다 한 많은 대동강아 대동강 부벽루야 뱃 노래가 그립구나 귀에 익은 수심가를 다시 한번 불러본다 편지 한 장 전할길이 이다지도 없을소냐 아-아- 썼다가 찢어버린 한 많은 대동강아 |
||||||
12. |
| 3:58 | ![]() |
|||
13. |
| 3:50 | ![]() |
|||
1. 임이라 부르리까 당신이라고 부르리까
사랑을 하면서도 사랑을 참고사는 마음으로만 그리워 마음으로만 사무쳐 애타는 가슴 그 무슨 잘못이라도 있는 것처럼 울어야만 됩니까 울어야만 됩니까 2. 임이라 부르리까 당신이라고 부르리까 밤이면 꿈에서도 다정히 만나보고 잊지못하고 언제나 가슴속에만 간직한 못난 이마음 그 무슨 잘못이라도 있는것처럼 울어야만 됩니까 울어야만 됩니까 |
||||||
14. |
| 3:26 | ![]() |
|||
조기를 담뿍 잡아 기폭을 올리고
온다던 그 배는 어이하여 아니오나 수평선 바라보며 그 이름 부르면 갈매기도 우는구나 눈물의 연평도 태풍이 원수드라 한 많은 사라호 황천 간 그 얼굴 언제 다시 만나보리 해 저문 백사장에 그 모습 그리면 등대불만 깜박이네 눈물의 연평도 |
||||||
15. |
| 2:30 | ![]() |
|||
오동추야 달이밝아 오동동이냐
동동주 술타령이 오동동이냐 아니요 아니요 궂은비 오는 밤 낙수물소리 오동동오동동 그침이 없이 독수공방 타는 간장 오동동이요 |
||||||
16. |
| 2:17 | ![]() |
|||
앵두 나무 우물가에 동네 처녀 바람났네
물동이 호미 자루 나도 몰라 내 던지고 말만 들은 서울로 누굴 찾아서 이뿐이도 금순이도 담보짐 쌌다네 |
||||||
17. |
| 3:36 | ![]() |
|||
대장군 잘 있거라 다시 보마 고향산천
과거보러 한양 천리 떠나가는 나그내의 내 낭군 알쌍급제 천번만번 빌고 빌어 청노새 안장위에 실어주던 아 ~ 엽전 열 닷냥 |
||||||
18. |
| 3:00 | ![]() |
|||
한많은 강가에 늘어진 버들가지는
어젯밤 이슬비에 목메어 우는구나 떠나간 그 옛날은 언제오려나 기나긴 한강줄기 끊임없이 흐른다 흐르는 한강물 한없이 흐르건만은 목메인 물소리는 오늘도 우는구나 가슴에 쌓인한을 그 누가 아나 구백리 변두리를 쉼없이 흐른다 |
||||||
19. |
| 2:55 | ![]() |
|||
1. 공양미 삼백석에 제물이 되어
앞 못보는 부친님과 하직을 하고서 사공따라 효녀 심청 떠나갈 때에 산천도 울었다네 초목도 울었다네 2. 임당수 푸른 물결 넘실거릴때 만고 효녀 심청이는 뱃전에 올라서서 두손모아 신령님께 우러러 빌때 물새도 울었다네 사공도 울었다네 |